2020년 프랑스 정부는 플라스틱, 음식물, 전자기기 등의 폐기물을 줄이고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폐기물 방지법’을 제정했다. 2022년부터 음식물을 제외한 모든 상품의 재고는 판매자 마음대로 폐기할 수 없으며 과일과 채소를 플라스틱으로 포장하는 것을 금지하는 등 강도 높은 정책을 시행 중이다. 그리고 올해 10월부터는 옷 한 벌을 수선할 때마다 최대 25유로(약 3만5,000원)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프랑스 내에서는 이 정책이 패스트 패션의 소비를 줄이는 한편, 침체돼 있던 의류 수선 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의류가 얼마나 생산되고 폐기되는지 통계조차 정확하지 않은 실정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2020년 한 해 동안 발생한 의류 폐기물은 약 8만2423톤(가장 최신의 통계다). 친환경 소재도 좋지만 재고나 폐기물 등 이미 생산된 제품을 적극 활용하는 브랜드를 찾다 플라스틱팜을 발견했다. 일상과 자연을 넘나드는 라이프스타일∙패션 브랜드 플라스틱팜은 업사이클 소재로 빈티지 제품을 리메이크하는 ‘CRV(Collect/Reuse, Remake, Restore/Vintage)’ 프로젝트를 막 시작한 참이었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의류가 얼마나 생산되고 폐기되는지 통계조차 정확하지 않은 실정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2020년 한 해 동안 발생한 의류 폐기물은 약 8만2423톤(가장 최신의 통계다). 친환경 소재도 좋지만 재고나 폐기물 등 이미 생산된 제품을 적극 활용하는 브랜드를 찾다 플라스틱팜을 발견했다. 일상과 자연을 넘나드는 라이프스타일∙패션 브랜드 플라스틱팜은 업사이클 소재로 빈티지 제품을 리메이크하는 ‘CRV(Collect/Reuse, Remake, Restore/Vintage)’ 프로젝트를 막 시작한 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