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에 마르쉐 농부시장이랑 충남 홍성군에서 하는 유기농페스타에 출점해서 바쁘게 지냈어요. 이번 주부터는 다시 가게 영업만 하니까 이제 막 일상으로 돌아온 것 같은 느낌이에요.
교토식 낫토를 만든다고 알고 있어요. 다른 지역의 낫토와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지역보다는 제조사별 차이가 더 커요. 굳이 지역별 차이를 찾자면, 낫토는 홋카이도부터 도쿄까지 일본 동부가 본고장인 음식이에요. 유명한 낫토 회사도 대부분 이바라키현(도쿄에서 북쪽으로 약 100km 떨어진 일본 혼슈 동쪽의 평야 지대로, 낫토 대표 산지로 유명)에 있죠. 처음에 낫토를 배우고 싶어서 이바라키현에 있는 낫토 제조사 중 한 곳에 연락했는데, 규모가 크고 역사도 오래된 기업이다 보니 아무래도 보수적이었어요. 이후 지인을 통해 교토의 후지와라 식품(藤原食品)이라는 낫토 제조소를 소개받았어요. 소규모이긴 하나, 역사가 깊고 다양한 시도를 많이 한다고 하더라고요. 4대째 가업을 잇고 있는 대표님은 록과 밴드 음악에 관심 많고 한국 아티스트들도 좋아하는 분이에요. 제조소를 물려받고 나서 낫토만 만들면 재미없다고 서점, 어패럴 브랜드 등과 다양한 협업을 했더라고요. 이곳에서 낫토를 어떻게 만드는지 기초를 배웠죠.
낫토 제조를 배우는 일은 어땠나요?
후지와라 식품에서 두 달간 인턴식으로 일했어요. 오사카에 살 때 종종 가던 교토의 게스트 하우스에서 방을 저렴하게 빌려주셔서 거기서 지냈죠. 재밌긴 재밌었어요. 대표님 어머니한테 일을 배우면서 말을 못 알아듣는다고 혼나기도 많이 혼났고요. 방언 때문에 알아듣기가 어려웠거든요. (웃음) 힘들기도 했어요. 한겨울에 해도 안 뜬 새벽부터 일어나 출근을 했는데, 숙소가 고택을 개조한 곳이라 걸을 때마다 삐걱거리고 단열이 잘 안돼 히터를 틀어도 엄청 추웠죠. 그래도 ‘하기로 했으니까’라는 생각으로 임했어요. 소규모 낫토 가게의 운영 방식을 배우기 위해서 후지와라의 대표님이 소개해주신 오사카의 라쿠다자카낫토공방(らくだ坂納豆工房)을 몇 차례 방문해서 도움도 받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