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각은 1970년대 우리나라 관광 산업의 태동을 상징하던 건축물 이다. 1973년 6월 하동과 남해를 잇는 남해대교가 개통하면서 남해는 섬에서 육지로 거듭났다. 길이 660미터에 이르는 ‘아시아에서 가장 긴 현수교’의 등장을 반긴 것은 남해 주민뿐만이 아니었다. 개통식을 구경하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모인 인파가 10만 명에 이르렀을 정도. 남해군의 인구가 13만 명이던 때다. 그후 2년 뒤 대교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자리에 남해각이 들어섰다.
지금은 사라진 해태그룹이 관광 산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며 북쪽에 지은 것이 임진각, 남쪽에 지은 것이 바로 남해각이다. 남해대교가 여행 명소로 떠오르 면서 숙박과 휴게 시설을 갖춘 남해각은 1980년대까지만 해도 관광 인파로 북적거렸다. 기념사진 촬영과 가이드 역할을 겸하던 사진사가 많을 때는 20명 남짓 상주했다고 한다. 1 이후 관광 트렌드가 변화하면서 남해각의 호시절은 점차 옛이야기가 되었고, 낙후된 모텔 차지였던 건물은 2018년 노량대교가 개통하면서 그 기능을 완전히 상실했다.
다행히 남해각의 시간은 완전히 끝나지 않았다. 올해 복합문화 시설로 재개관한 남해각은 남해 여행의 관문으로 두 번째 전성기를 꿈꾼다. 남해대교의 주탑을 본떠 만든 기둥을 비롯해 건물 본래의 특징은 그대로 살렸고, 카페와 레스토랑, 나이트클럽 등이 들어섰던 지상 1층과 지하 1층은 전시 공간으로 변신했다. 숙박 시설이던 2층은 남해를 방문한 여행자를 위한 플랫폼으로, 3층은 야외 전망대로 탈바꿈했다. 특히 1970년대부터 2000년대 까지, 남해대교와 남해각에 관한 기록을 아카이빙해 선보인 상설전시는 남해 주민에게 이 두 장소가 지닌 정서적 상징성을 엿볼 수 있어 흥미롭다. 남해각의 마지막 사진사 박용길 씨의 기록이 담긴 영상부터 남해대교를 배경으로 찍은 수많은 이들의 사진, 대교 개통 소식을 다룬 신문 기사, 다리를 배경으로 촬영한 포니 자동차 지면 광고, 모텔의 객실 열쇠까지. 다양한 전시물을 둘러보는 동안 창밖으로는 붉은색 남해대교가 한 점의 작품처럼 존재감을 드러낸다. “이곳 사람들에게 남해대교는 오랫동안 남해의 대문을 상징했어요. 타지에 나갔다 돌아올 때면 다리를 건너면서 비로소 집에 왔다고 느끼는 거죠.” 남해각의 김향숙 해설사의 말이 이곳의 존재 이유에 힘을 보탠다. 앞으로 남해각에는 야외 무대와 라운지가 들어설 예정이고, 남해대교는 보행자 전용 다리가 되어 다양한 콘텐츠를 덧입을 준비를 하고 있다.